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버티는 자가 이긴다.

by 탐탐이 2023. 11. 28.
반응형

- 강력한 멘탈을 가진 자는 버티는 데 각별한 재능을 갖고 있다. 이는 진리다. 버티지 못하고 포기하는 사람은 성공할 수 없다. 하지만 여기 또 하나의 진리가 있다. 사람은 누구나 '포기해버릴까?' 하는 생각을 한 번쯤은 해봤다는 것이다. 강한 멘탈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포기해버릴까 하는 유혹에 빠지는 것은 인간이라면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자책할 필요도 죄책감을 가질 필요도 없다. 당혹스럽거나 깜짝 놀랄 일도 아니다. 유혹에 빠지는 것, 망설이고 주저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질문을 해보자.

"당신은 언제 포기를 고민하는가?"

처음에 품었던 기대치와 다른 상황에 놓일 때일 것이다. 그래서 몹시 실망스러울 때일 것이다. 모든 일이 더 빨리, 더 쉽게, 더 멋지게 진행되지 않을 때일 것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지금껏 당신이 포기해온 것들은 모두 이와 똑같은 패턴을 갖고 있을 것이다. 강력한 리더십의 소유자였던 윈스턴 처칠은 이렇게 말했다.

"절대, 절대, 절대 포기하지 마라!"

유감스럽게도 처칠의 이 유명하고도 열정적인 권유는 더 이상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가슴을 뜨겁게 달구지 못하는 것 같다. 무조건 포기하지마 라는 외침보다는 내가 만났던 멘탈의 강자는 다음과 같은 제안이 포기의 유혹을 무력화하는 데 더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버텨라, 그러면 기회가 찾아올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무엇일까? '이기는 것'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예상대로 착착 진행되고 맞아 떨어져 쉽게 이기는 것'이다. 세상에 이보다 더 어려운 일이 있을까! 그래서 우리는 대부분 중도에 포기하고 주저앉는다.

분명 버티기는 포기보다 어렵다. 하지만 '쉽게 이기는 것'보다는 쉽다. 나아가 쉽고 빠르게 이긴 사람보다 버티면서 기회를 얻어 이긴 사람이 세상에 몇만 배는 더 많다. 성공한 셀럽들을 보라. 그들은 대부분 길고 긴 무명의 시간을 버텨낸 사람이다. 전 세계에서 1,000만 부 이상 판매된 나의 첫 책도 처음에는 57군데 출판사에서 거절을 당했다. 그 거절을 버티지 못했다면 나는 작가로서 아무런 명예도 얻지 못했을 것이다. 마침내 승리해 인터뷰나 수상 소감을 전하는 사람들의 80퍼센트 이상은 파란만장한 시간을 버텨낸 감격의 눈물을 보인다. 연금술사들은 말한다.

"버티는 데 성공하는 것, 이것이 성공의 정의이고, 진정한 승리다."

나는 지금 당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알지 못한다. 어쩌면 당신은 포기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이 책을 집어 들었을 수도 있다. 진심을 다해 당부한다.

'버텨라.'

포기하고 무대 뒤로 사라지면 다시는 무대에 설 기회를 얻을 수 없다. 이기려고 애쓰지 마라. 버티는 데 집중하라. 버티면 힘이 붙는다. 힘이 붙으면 이긴다.

'여기서 포기할 것인가?'를 대신해 '여기서 어떻게 더 버틸것인가?'를 생각하라. 그것이 현명한 사람의 선택이다. 포기를 고민하는 것은 당신에게 '상처'를 주고, 버티기를 궁리하는 것은 당신에게 '답'을 주기 때문이다.

 

포기를 미화하지마라, 늘 작심삼일에 그치는, 포기를 밥 먹듯 하는 사람들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이제 난 포기할 거야"라고 절대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포기라는 단어보다 훨씬 그럴듯하게 들리는 다양한 표현을 찾아내 사용한다. 이솝 우화에 등장하는 포도 따기 시도를 포기한 여우가 '포도가 아직 덜 익어 맛이 없을 거야'라고 합리화하듯 말이다.

포기라는 단어를 포장하고 싶어 하는 것도 어렵잖게 납득이 가는 일이긴 하다. 포기를 고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감정의 골짜기에 깊이 빠져 있다. 따라서 자신의 기대치에 부합하지 않는, 자신을 고생스럽게 만드는 상황에 머무르지 않으려고 하는 태도는 그들에게 논리적이고 합당하다. 그들은 이미 자신을 좀 더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것처럼 보이는, 자신에게 더 많은 전망을 제공해주는 것처럼 보이는 또 다른 행동에 마음을 빼앗긴 상태다. 즉 포기를 고민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포기를 했다는 뜻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포기'라는 단어를 우리 삶에서 완전히 추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간은 끊임없이 선택과 포기의 기로에 놓이기 때문이다. 단, 포기와 관련해 우리 삶에서 완전히 얿앨 수 있는 것이 있다. 바로 '변명'이다.

 

"열심히 했으니까 됐어."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하지."

"도전해본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어."

"이 정도 한 게 어디야? 다음엔 좀 더 잘해보자!"

 

이 모두가 그럴듯하고 위안을 주는 말이다. 하지만 냉정하게 말하면 이는 모두 변명과 자기 합리화일 뿐이다. 내가 만난 강자들은 이렇게 말했다.

 

"그래, 인정한다, 내가 더 버티지 못하고 깨끗이 포기했다는 것을,' 포기했다는 사실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하는 이 한마디가 현실의 나를 차갑게 일깨워준다."

 

포기는 언제든 일어나는 일이다. 하지만 포기할 때마다 그것을 감쌀 미사여구가 많아질수록 우리는 점점 더 포기에 익숙해지고, 포기가 쳐놓은 그물에 갇혀 있음에도 압박과 억압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포기를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는 삶에 어떤 발전이 있겠는가. 포기를 냉정하고 철저하게 받아들이되, 결코 미화하지 마라. 포기를 '포기'라는 정확한 명칭으로 불러야 한다. 포기에 변명을 다는 순간 우리는 현실을 왜곡되게 인지한다. 

"포기를 냉철하게 받아들인 사람의 다음 행동은 '반성'이다.

끝까지 가지 못한 이유들을 이성적으로 분석하고, 이 또한 차가운 머리로 받아들인다. 반면에 포기를 미화한 사람의 다음 행동은 '실망'이다. 성공에 가장 위험한 요소가 있다면 실망이다. 실망은 이성적 판단을 차단시켜 우리를 부정적 감정에 휩싸이게 한다. '실망'이라는 안경을 통해 바라보는 대상과 현실이 '진실'이라고 믿는 사람의 성공 확률은 제로다."

 

미화, 변명, 핑계, 위로는 마약과 같다. 마약에 취한 사람이 세상을 직시할 리 없다. 그저 취했다가, 깨어나는 것이 두려워 다시 찾는 마약에 의지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겠는가. 마약을 끊지 않은 채 성공을 위해 열심히 하겠다는 태도가 어떤 설득력을 가지겠는가. 담배를 피우면서 마라톤 완주를 하겠다는 게 우리 삶의 참된 목적이 될 수 있겠는가.

정말 열심히 했다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면, 지금 여기까지 과정을 잘 끌고 왔다면, 포기하지 말고 버텨라. 일단 끝을 맛보면, 정말 삶이 달라진다. 끝에 도착하면 전혀 상상도 못한 것들이 우리를 기다린다.

 

"특히 부정적 감정에 휩싸여 있을 때는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된다. 감정의 골짜기에 빠져 있을 때 어떤 행동을 중단하면 앞으로 살아가면서 그 생각에서 헤어날 수가 없다. 마음 깊숙이 도사리고 있던 아쉬움과 회한이 고개를 쳐든다. '만일 내가 계속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내가 내 자신에게 너무 쉽게 진 건 아닐까?' 삶에서 중단해도 되는 유일한 경우는 정상에 올랐을 때다." 언제나 진리는 간단하다. 포기를 한 것에는 어떤 미련도 갖지 마라. 깨끗하게 단념하라. 더 많이 행동하고, 더 열심히 일하라. 그리고 정상에 올라선 뒤에 비로소 결정을 내려라.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상에 오르면 알게 되는 것  (0) 2023.12.03
포기를 미화하지 마라  (0) 2023.11.29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3  (0) 2023.11.27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2  (0) 2023.11.26
부자아빠 vs 가난한 아빠  (0) 2023.11.25

댓글